위성 데이터에서 우리집 찾기

data science
gk2a
proj
kd tree
Author

Yunho Kee

Published

June 2, 2024

Intro

A photo of elliptical world map.

Photo by George Bakos on Unsplash

위도와 경도를 격자로 나누면 우리집은 어느 칸에 있을까?

작성중 입니다..

파일 읽기

격자로 나누는 방법은 다양하다. 천리안위성 2A호의 위성영상 중에는 LCC 도법(Lambert Conformal Conic Projection)에 따른 것들이 있다. 천리안위성 2A호 Level 1B 자료 영역별 도법 및 영상 정보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변이 2km인 정사각형 \(3600 \times 2600\) 개로 나눈 국가기상위성센터 > 지원 > 소프트웨어에 따라

import time
import requests

s = time.time()
with requests.get("https://datasvc.nmsc.kma.go.kr/datasvc/json/base/resources/selectAtchFile.do?attachFileUsq=41961") as response:
e = time.time()
print(e - s)
response
Back to top

Citation

BibTeX citation:
@online{kee2024,
  author = {Kee, Yunho},
  title = {위성 데이터에서 우리집 찾기},
  date = {2024-06-02},
  url = {https://yhkee0404.github.io/posts/data-science/proj},
  langid = {ko}
}
For attribution, please cite this work as:
Kee, Yunho. 2024. “위성 데이터에서 우리집 찾기.” June 2, 2024. https://yhkee0404.github.io/posts/data-science/proj.